피에르조제프 프루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은 19세기 프랑스의 사회주의 사상가이자, 스스로를 무정부주의자라고 칭한 최초의 인물이다. 그는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와 사회적 무정부주의의 중간 지점인 무정부주의적 상호주의를 주장하며, "재산은 도둑질이다"라는 명제로 사유 재산 제도를 비판했다. 또한, 국가 권력을 억압과 착취의 도구로 보고 중앙집권적인 국가 권력에 반대했으며, 노동자들의 자율적인 협동조합에 기반한 자유로운 사회를 옹호했다. 프루동의 사상은 한국의 초기 아나키즘 운동과 노동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지만, 반유대주의, 여성 차별적인 견해로 비판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 철학의 빈곤
카를 마르크스가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의 저서를 비판하며 1847년에 출간한 《철학의 빈곤》은 프루동 사상 비판 형식을 통해 마르크스 자신의 경제 이론 기초를 제시하고 아나키즘과 마르크스주의 분열을 심화시킨 저작으로, 노동 가치론, 유물론적 역사관, 생산 관계 등의 개념을 발전시키며 자본주의 사회 모순을 분석하고자 했다. - 아나키스트 이론가 - 노엄 촘스키
노엄 촘스키는 변형생성문법 이론으로 언어학에 혁명을 일으키고 인지 과학 등 여러 학문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 외교 정책과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저명한 지식인이자 사회운동가이다. - 아나키스트 이론가 - 엠마 골드만
엠마 골드만은 리투아니아 출신의 아나키스트, 페미니스트, 반전주의자로서, 20세기 초 미국에서 다양한 사회 운동에 참여하며 자본주의와 국가를 비판하고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평등을 옹호했다. - 프랑스의 반유대주의 - 조르주 소렐
조르주 소렐은 프랑스의 사상가로, 마르크스주의를 연구하며 신화와 직접 행동을 통한 자본주의 전복을 주장했고, 파시즘과 볼셰비즘에 양면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아나코생디칼리즘과 파시즘에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반유대주의 - 샤를 모라스
샤를 모라스는 프랑스의 정치 이론가이자 작가로, 반근대주의와 민족주의 사상을 주창하며 액시옹 프랑세즈를 통해 오를레앙 왕조 부활, 반유대주의, 대독 강경 노선을 선전하다가 비시 정권에 협력하여 옥중에서 사망했다.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피에르 조제프 프루동 |
원어 이름 | Pierre-Joseph Proudhon |
출생일 | 1809년 1월 15일 |
출생지 | 프랑스 제1제국 브장송 |
사망일 | 1865년 1월 19일 |
사망지 | 프랑스 제2제국 파리 파시 |
![]() | |
철학적 배경 | |
시대 | 19세기 철학 |
지역 | 서양 철학 |
학파/전통 | 아나키즘 사회주의 상호주의 |
주요 관심사 | 정치 철학 재산 이론 무신론 |
주요 사상 | 재산은 도둑질이다 권력 없는 질서 경제적 연방주의 아나키스트 점진주의 상호주의 이원 권력 |
정치적 입장 | |
이념 | 아나키즘 |
관련 정보 | |
영향 | 미하일 바쿠닌 조시아 워런 카를 마르크스 |
영향을 줌 | 미하일 바쿠닌 레프 톨스토이 뱅자맹 터커 에리코 말라테스타 엠마 골드만 피터 크로포킨 피에르 몽테 조르주 소렐 클래런스 리 스와츠 마르틴 부버 구스타프 란다우어 시어도어 아도르노 허버트 마르쿠제 위르겐 하버마스 미셸 푸코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 조제프 데자크 에밀 아르망 무라카미 시로 한나 아렌트 |
2. 생애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은 1809년 프랑스 부잔송 교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양조업과 술통 제조업에 종사했다. 어린 시절 프루동은 여관과 농장에서 일하며 성장했고, 콜레주에 편입했지만 경제적 어려움으로 독학해야 했다.
19세부터 인쇄소에서 교정 업무를 하며 라틴어 번역 성서를 통해 신학 지식을 쌓고 히브리어를 익혔다. 1837년 『일반 문법론』을 자비 출판하여 장학금을 받아 파리에서 공부했다.
1839년 『일요 예배론』을 발표했으나 사회 개혁 사상으로 인해 발매 금지되었다. 1840년 6월 『재산이란 무엇인가』에서 “재산, 그것은 절도이다”라는 표현으로 논란을 일으켰고, 이후 재산 관련 논문을 발표하며 사회주의 사상을 발전시켰다. 1843년부터 1847년까지 리용의 상회에서 근무하며 경제학자들과 교류했고, 1843년 『인류 사회에서 질서 창조』, 1846년 『경제적 모순의 체계, 또는 빈곤의 철학』을 출판했다. 바쿠닌, 알렉산드르 헤르첸과 교류하며 헤겔 변증법을 토론했고, 마르크스와는 사상 차이로 관계가 악화되었다.
1848년 2월 혁명에 참여한 프루동은 튀일리궁 무혈 점령에 가담하고 여러 신문을 발행하며 인민 은행과 상호주의적 교환 조직을 시도했다. 6월 보궐선거에서 국민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나, 1849년 루이 나폴레옹 비판으로 금고형과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옥중에서 결혼하고 『혁명가의 고백』(1850년), 『19세기의 혁명의 일반 이념』(1851년) 등을 집필했다.
1858년 『혁명의 정의와 교회의 정의』 출판으로 다시 금고형과 벌금형을 선고받고 벨기에 브뤼셀로 망명했다. 1862년 사면으로 귀국하여 1863년 『연방주의적 원리와 혁명당 재건의 필요성에 관하여』를 집필했다. 유작 『노동자 계급의 정치적 능력』을 구술하고, 1865년 파리 코뮌 발생 5년 전 파리 16구에서 심장병으로 사망했다.[130]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피에르조제프 프루동은 1809년 1월 15일 프랑스 브장송의 바탕(Battant) 교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맥주 양조업자이자 통 제조업자였고, 어머니는 농촌 출신이었다. 프루동은 다섯 자녀 중 하나였으며, 두 형제는 어린 나이에 사망했다.어린 시절 프루동은 가족의 선술집 일과 농사일을 도왔고, 시골에서 뛰어놀며 시간을 보냈다. 그는 정규 교육을 거의 받지 못했지만, 세 살 때 어머니에게 글을 배웠다. 열 살 때까지 그가 접한 책은 복음서와 몇몇 지역 역서 정도였다.
1820년, 프루동의 어머니는 그를 브장송 시립 대학에 보내려 했다. 가난 때문에 학비를 낼 수 없었지만, 아버지의 전 고용주 도움으로 장학금을 받아 입학할 수 있었다. 하지만 프루동은 책과 신발 등 기본적인 물품을 살 돈이 없어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었고, 부유한 학생들에게 종종 놀림을 받았다. 그럼에도 그는 배우려는 의지가 강했고, 학교 도서관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다양한 과목을 공부했다.
1827년부터 프루동은 인쇄소에서 견습공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는 인쇄소에서 교회 관련 서적을 접했고, 이를 통해 종교적 신념에 의문을 품기 시작했다. 또한, 인쇄소에서 샤를 푸리에를 만나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그는 푸리에와 토론하며 많은 영향을 받았고, 이는 평생 동안 지속되었다. 이 시기에 프루동은 귀스타브 팔로와 깊은 우정을 쌓았고, 그를 통해 미셸 드 몽테뉴, 프랑수아 라블레, 장 자크 루소, 볼테르, 드니 디드로 등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을 접하며 지식을 넓혔다.
프루동은 인쇄소에서 교정자로 일하면서 라틴어 번역 성서를 교정하며 신학 지식을 쌓았고, 히브리어를 독학하기도 했다. 그는 언어학에도 관심을 가져 1837년에는 『일반 문법론』을 자비로 출판했다. 1838년에는 장학금을 받아 대학교에 입학했지만, 경제적 어려움으로 학업을 중단해야 했다.
2. 2. 사회주의 사상의 발전
1827년 프루동은 바탕의 벨르보(Bellevaux) 집에 있는 인쇄소에서 견습공으로 일을 시작했다.[15] 이듬해 부활절에 그는 학교 친구인 앙투안 고티에(Antoine Gauthier)의 가족이 소유한 베장송(Besançon)의 인쇄소로 옮겼다.[15] 당시 베장송은 중요한 종교 사상의 중심지였고, 고티에 인쇄소에서 출판된 대부분의 작품은 교회 관련 서적이었다.[15] 프루동은 인쇄소에서 일하면서 매일 몇 시간씩 이 기독교 문헌을 읽었고, 종교적 신념에 의문을 품기 시작했다.[16]1829년, 프루동은 인쇄소 교정자가 되어 출판물 교정을 맡았다. 그는 종교 이론보다 사회 문제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특히 샤를 푸리에(Charles Fourier)와의 만남이 중요했다. 같은 해 푸리에는 고티에 인쇄소에 자신의 작품인 『새로운 산업 및 사회적 세계』(Le Nouveau Monde Industriel et Sociétaire)를 출판하기 위해 찾아왔다. 프루동은 책의 인쇄를 감독하면서 푸리에와 다양한 사회적, 철학적 문제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고, 이는 그에게 강한 인상을 주어 일생 동안 영향을 미쳤다.[16]
1843년 프루동은 자신의 인쇄소를 팔고 수상 운수회사에서 승무원으로 일하면서 카를 마르크스와 바쿠닌을 알게 되었다.[17] 1842년 프루동이 쓴 《경제적 모순의 체계, 혹은 빈곤의 철학》에 대해 마르크스가 《철학의 빈곤》으로 비판하면서 두 사람의 사이는 매우 나빠졌다. 마르크스는 프루동을 사회주의자로서 존중했지만, 프루동의 이론은 논리적 근거가 빈약하다고 생각했다.
2. 3. 정치 활동과 망명
1848년 2월 혁명 이후 프루동은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으나, 〈민중〉(Le Peuple)지에 나폴레옹 3세를 비판하는 글을 써서 3년 징역과 3000FRF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130] 이후 벨기에로 망명했다가 파리로 돌아와 체포되어 생트펠라지 감옥에 투옥되었고, 1852년에 석방되었다. 그는 생트펠라지에서 외프라지 피에가르(Euphrasie Piegard)와 결혼했으며, 《혁명가의 고백》과 〈민중의 목소리〉를 썼지만 다시 기소되어 다른 감옥으로 이송되었다.[130]1858년 프루동은 로마 가톨릭 교회를 비판한 《혁명과 교회의 정의론》을 출판하여 다시 3년 징역과 4000FRF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브뤼셀로 망명했다. 이때 레프 톨스토이를 만나기도 했다.[130] 1862년 파리로 돌아와 《소유의 이론》과 《노동계급의 정치적 역량에 대해서》를 썼다.[130] 1865년 지병으로 사망했다.[130]
3. 사상
프루동은 프랑스 대혁명이 한 사람의 주권(전체주의) 대신 다수의 주권(민주주의)을 세웠을 뿐, 타인에 대한 의지 강제라는 점에서는 변함이 없으므로 비판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프랑스 대혁명이 인간 억압의 사회적 기초인 재산 제도에 손을 대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다.[131]
프루동에게 재산은 모든 악의 근원이며, "재산은 도둑질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본가와 임금노동자 간의 불평등한 고용 관계, 그리고 자본가가 분업과 협동에 의한 생산력 증대를 무상으로 획득하는 것을 비판했다. 사회의 모든 부는 노동자들의 협업으로 만들어지는 '집합력'의 산물이므로, 자본가가 아닌 사회 전체에 귀속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31] 그는 소유의 정당함은 오직 그것을 사용하거나 점유하고 있을 때만 가능하다는 점유와 실질 사용을 바탕으로 규정되는 소유(possession)권 개념을 주장하였다.
프루동은 독학으로 경제학과 정치학을 공부했기 때문에 카를 마르크스처럼 체계적인 사상가는 아니었다. 카를 마르크스는 저서 『철학의 빈곤』에서 프루동을 비판했으며, 프루동의 사상은 여러 방면에서 비판받았다.
프루동의 사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 민중과 부르주아지를 모두 아우르며 사회적 모순을 파악했다.
- 재산 일반을 공격하면서도 소규모 소유 재산은 옹호했다.
- 여성의 역할에 대해 보수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여성 참정권을 부정했다.[118]
- 프랑스인으로서의 민족주의를 극복하지 못했다.
- 노동자의 파업권을 인정하지 않고 범죄로 간주했다.[119]
이러한 단점들은 1840년대에 헤겔 철학을 받아들인 후에도 계속되었고, 조르주 소렐 등 프랑스의 사회주의자·무정부주의자들에게 계승되었다. 농민 출신인 그는 공업을 혐오하고 프롤레타리아를 경멸했지만, 1864년에 발표된 『60인의 선언서』에 관한 사회주의자들과의 논쟁에서는 노동자를 구하는 것은 노동자 자신임을 인정했다. 프루동은 유능한 저널리스트이자 팜플렛 작가였으며, 그의 유창한 사회 비판과 문체의 간결함은 서간에도 나타난다. 말년의 "연합주의"는 모든 중앙 집권적인 조직에 대한 경계로서 오늘날에도 주목받는다.




3. 1. 상호주의
프루동은 무정부주의를 "주인, 군주가 없는 상태"로 정의하고, "인간이 평등 속에서 정의를 추구하듯이, 사회는 무정부 상태에서 질서를 추구한다"라고 썼다.[30] 그는 상호주의라는 독자적인 무정부주의 이론을 제시했다. 상호주의는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와 사회적 무정부주의 사이의 중간 지점으로 여겨지며,[28] 자유 결합을 통해 산업 민주주의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했다. 이는 일터가 "민주적으로 조직된 노동자 협회에 넘겨지는" 시스템으로, 노동자들이 자본가에게 노동력을 팔지 않고 협동조합에서 스스로를 위해 일하게 된다.[50]프루동은 노동자들이 모든 구성원에게 동등한 조건으로 민주적인 사회를 형성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봉건제로 퇴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자본주의적 착취가 중단되고, 임금 시스템이 폐지되며, 공정하고 평등한 교환이 보장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보았다.[43]
프루동의 시장 사회주의는 그의 산업 민주주의와 노동자 자치 개념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었다.[44] 그는 경제의 통제와 방향을 노동자에게 되돌릴 산업 민주주의 프로그램을 꾸준히 제시했으며, 강력한 노동자 협회를 통해 노동자들이 선거를 통해 기업 운영 방식을 공동으로 결정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44]
프루동은 자신의 경제 시스템을 "농업-산업 연방"이라고 불렀으며, 이는 "연방 국가의 시민들을 내부 및 외부의 자본주의 및 금융적 봉건주의로부터 보호"하고 "임금 노동"의 재도입을 막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치적 권리는 경제적 권리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34]
그는 토지와 자본에 대한 권리에 대해 여러 가지 이유로 반박했는데, 그중 하나는 이것이 이윤을 가능하게 하여 사회 불안과 전쟁으로 이어진다는 것이었다. 또 다른 주장은 이것이 전제정치를 만들어내고 노동자들을 사장의 권위에 종속된 임금 노동자로 만들었다는 것이다.[45]
프루동은 소규모 사유재산을 주장하며 부와 재산의 집중에 반대했다. 그는 상속권을 지지했지만, 개인 소유물을 넘어서는 것을 거부하며 "노동의 수단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49][50] 그는 자본주의와 국가 사회주의를 모두 거부했으며, 권위주의적 사회주의와 국가 재산을 옹호하는 다른 권위주의적이고 강제적인 형태의 공산주의도 포함된다.[51] 그는 이자와 지대의 부과에 반대했지만, 법으로 이를 폐지하려고 하지 않았다.[52]
3. 2. 사유 재산 비판
프루동은 "재산은 도둑질이다"라는 유명한 경구를 통해 사유 재산 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131] 그는 프랑스 대혁명이 진정한 혁명이 아니라고 보았는데, 이는 다수의 주권(민주주의)이 한 사람의 주권(전체주의)을 대체했을 뿐, 타인에 대한 의지 강제라는 원리는 변하지 않았고, 재산 제도에 손을 대지 않았기 때문이다.[131] 프루동에게 재산은 모든 악의 근원이었으며, 법이 권리로 인정하는 재산도 마찬가지였다.프루동은 자본가와 임금노동자의 고용 관계가 불평등한 교환 관계이며, 이 불평등에서 발생하는 이익이 축적된다고 보았다. 또한, 자본가가 분업과 협동으로 인한 생산력 증대를 무상으로 획득하여 '훔치는 것'으로서의 재산이 더욱 축적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회의 모든 부는 수많은 노동자의 협업으로 만들어지는 '집합력'의 산물이므로, 자본가가 아닌 사회 전체에 귀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인간은 이 집합력의 산물로부터 생명과 자손 유지에 필요한 부분을 노동과 교환하여 얻을 수 있을 뿐이라고 보았다.
하지만 프루동은 소유의 정당함은 오직 그것을 사용하거나 점유(occupancy)하고 있을 때만 가능하다고 주장하면서, 점유와 실질 사용을 바탕으로 규정되는 소유(possession)권 개념을 제시했다. 즉, 소규모 자영업자나 농민의 소유는 인정했다. 그는 개인 노동의 산물뿐만 아니라 농민이나 장인의 집과 직업 도구, 상품 판매 소득도 정당한 재산으로 보았다. 프루동에게 재산의 유일한 정당한 근원은 노동이었다.
프루동은 초기 저술에서 자본주의 경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비판했지만, 사회주의 운동 내에서 경제의 중앙집권적 통제를 주장하는 사람들에게도 반대했다. 그는 "재산은 절도다", "재산은 불가능하다", "재산은 전제정치다", "재산은 자유다"라는 상반된 주장을 펼쳤다.[67] "재산은 절도다"라고 할 때, 그는 노동자에게서 이익을 "훔치는" 지주나 자본가를 지칭했다.[65] "재산은 자유다"라고 할 때는 개인 노동의 산물, 농민/장인의 집과 도구 등을 의미했다.
프루동은 불법적인 재산은 지배(권리)에 기반하며 힘(경찰)에 의해 뒷받침된다고 믿었다. 그는 권리를 거부하고 점유에 기반한 소유를 수용했다. 그는 개인 재산과 소유(''possession''), 사유 재산(''propriété'', 생산 재산)을 구분했다.[10][62] 자본가 재산 지지자들과 달리, 프루동은 평등을 강조하고 모든 노동자가 재산을 소유하고 자본에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했다.[63]
말년에 프루동은 정부 권한을 강화하는 동시에 소유를 더욱 평등주의적으로 만들어 균형을 맞추려 했다. 그는 국가 권력을 통제하기 위해 소유권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소유가 "절대주의 안의 절대주의", "본질적으로 독재적"이며 "착취"라고 인정했다. 그는 소유를 사회 전반에 고르게 분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3. 3. 국가 권력 비판
프루동은 국가를 억압과 착취의 도구로 보았으며, 중앙집권적인 국가 권력에 반대했다.[59] 그는 국가가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고, 소수의 특권층에게만 이익이 되는 불평등한 사회 구조를 유지한다고 주장했다.[10]프루동은 "나를 다스리려고 손을 대는 자는 침략자이자 폭군이며, 나는 그를 나의 적이라고 선언한다"라고 말하며 국가 권력에 대한 강한 반감을 드러냈다.[31] 그는 통치받는다는 것은 "감시당하고, 조사받고, 염탐당하고, 지시받고, 법에 따라 행동하고, [...] 그러한 권리도, 지혜도, 미덕도 없는 피조물들에 의해서" 명령받는 것이라고 비판했다.[33]
프루동은 중앙집권적인 국가 대신, 자유로운 코뮌(commune, 자치 공동체)들의 연합에 기반한 사회를 옹호했다.[34] 그는 권력이 중앙에 집중되지 않고, 각 지역의 주민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삶을 결정하는 분권화된 사회를 꿈꿨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무정부주의의 핵심 원리 중 하나가 되었다.
프루동은 "대중이 국가가 될 때, 국가는 더 이상 존재할 이유가 없다"라고 주장하며,[61] 국가가 사라지고 모든 사람이 자유롭고 평등하게 살아가는 사회를 이상향으로 제시했다. 그는 특권적인 재산이 국가에 의해 뒷받침되고 상호 연결된 정부의 형태라고 보았다.[10]
프루동은 초기 저술에서 자본주의 경제의 본질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비판했다. 그는 사회주의 운동 내에서 경제의 중앙집권적 계층적 형태의 연합이나 국가 통제를 주장하는 사람들에게도 반대했다.[65]
3. 4. 자유 결합
프루동은 상호주의를 통해 자유 결합으로 산업 민주주의를 구축하고자 했다. 이는 일터가 "민주적으로 조직된 노동자 협회에 넘겨지는" 시스템이다.[50] 프루동은 노동자들이 자발적으로 협동조합을 조직하고, 이러한 협동조합들이 자유롭게 연합하여 사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노동자들이 모든 구성원에게 동등한 조건으로 민주적인 사회를 형성하도록 촉구했으며, 그렇지 않으면 봉건제로의 퇴보를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43]상호주의 하에서 노동자들은 더 이상 자본가에게 노동력을 팔지 않고 협동조합에서 스스로를 위해 일하게 된다. 이는 "자본주의적이고 소유적인 착취가 모든 곳에서 중단되고, 임금 시스템이 폐지되며, 공정하고 평등한 교환이 보장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43]
3. 5. 변증법
프루동은 헤겔의 변증법을 받아들여 자신의 사상을 발전시켰다. 그는 공산주의와 사유재산의 모순을 극복하고, 자유와 평등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사회를 추구했다.[36] 그는 『경제적 모순 체계』(System of Economic Contradiction)에서 상호주의를 "사유재산과 집단 소유 개념의 종합"으로 묘사했다.[37][38][39][40][41]프루동은 강제적인 공산주의와 특권적인 사유재산에 대한 거부를 통해 그를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와 소유의 종합으로 이끌었다. 또한 그의 재산 이론 사이의 명백한 모순은 여전히 종합될 필요가 있는 반정(antithesis)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프루동은 "소유는 자유다"라는 이론을 제시하면서 이전의 "소유는 절도다"라는 정의에 대한 생각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고 말했다. 그는 "종합"에만 의존한 것이 아니라, 공산주의와 사유재산처럼 완전히 조화될 수 없는 것으로 보이는 접근 방식 사이의 "균형"을 강조했다.[10]
4. 한국 사회에 끼친 영향
프루동의 사상은 19세기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칼 마르크스도 초기에는 프루동을 높이 평가했다.[17] 프루동은 소유란 무엇인가?에서 "재산은 절도다"라고 선언하며, 노동자들의 이익을 "훔친" 지주나 자본가를 비판하고, 생산 수단의 사유를 반대하며 노동자 자치를 주장했다.[65][71] 이러한 사상은 한국의 초기 아나키즘 운동과 노동 운동, 사회 운동 전반에 영향을 주었다.
4. 1. 초기 한국 아나키즘 운동
마르크스도 높이 평가할 정도로 프루동의 사상은 19세기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17] 그는 1840년에 출간한 "소유란 무엇인가?"에서 "재산은 절도다"라고 선언하며, 노동자들의 이익을 "훔친" 지주나 자본가를 비판했다.[65] 또한 생산 수단의 사유를 반대하고 노동자 자치를 주장했다.[71] 이러한 프루동의 사상은 한국의 초기 아나키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4. 2. 노동 운동과 사회 운동
프루동의 사상은 19세기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칼 마르크스도 초기에는 프루동을 높이 평가했다.[17] 1846년 프루동이 《경제적 모순의 체계 또는 빈곤의 철학》을 출판하자, 마르크스는 《빈곤의 철학》이라는 책으로 프루동을 비판하면서 둘 사이에는 갈등이 생겼다. 이 갈등은 무정부주의와 마르크스주의 사이의 분열로 이어졌고, 제1인터내셔널에서 미하일 바쿠닌을 따르는 집산주의적 무정부주의자들로 인해 계속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17]스페인에서는 라몬 데 라 사그라가 1845년 라 코루냐에 프루동 사상에서 영감을 받은 무정부주의 잡지 《엘 포르베니르》를 창간했다.[22] 카탈루냐 정치인 프란세스크 피 이 마르갈은 프루동의 작품을 스페인어로 번역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23] 1873년 스페인 대통령을 잠시 역임하면서 연방 민주 공화당의 지도자가 되었다.[24] 조지 우드콕에 따르면, 이 번역은 1870년 이후 스페인 무정부주의 발전에 깊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 이전에도 피 이 마르갈이 해석한 프루동 사상은 1860년대 초에 등장한 연방주의 운동에 많은 영감을 주었다.[24]
5. 비판과 논란
프루동은 독학으로 경제학과 정치학을 익혔기 때문에 카를 마르크스처럼 체계적인 사상가는 아니었다. 그의 사상은 여러 방면에서 비판을 받았다.
- 모순적인 입장: 민중과 부르주아지를 모두 아우르며 사회적 모순을 파악하려 했지만, 재산 일반을 공격하면서도 소유 재산을 옹호하는 모순적인 입장을 보였다.
- 반여성주의: 가정 생활과 여성의 역할에 대해 매우 보수적인 생각을 가졌다. 여성이 가사에 전념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여성 참정권을 부정했다.[118] 그의 ''카르네''(''수첩'')에는 여성을 "매춘부이거나 가정주부"로 선택해야 한다는 극단적인 주장도 담겨 있다.[116] 조제프 데자크는 프루동의 반여성주의가 무정부주의 원칙에 어긋난다고 비판했다.[117]
- 민족주의: 프랑스인으로서의 민족주의를 극복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 노동자 파업권 부정: 노동자의 파업권을 인정하지 않고 범죄로 간주했다.[119]
- 마르크스와의 갈등: 1840년대에 카를 마르크스는 프루동의 저서 《경제적 모순의 체계, 혹은 빈곤의 철학》을 비판하며 《철학의 빈곤》을 출판했다.[17] 마르크스는 프루동의 무정부주의뿐만 아니라 노동, 가치, 가격에 대한 그의 오해와 부르주아 윤리 내에서의 재산 비판을 문제 삼았다.[13] 이언 맥케이를 포함한 많은 무정부주의자들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이 프루동의 견해를 왜곡했다고 비판하며, 마르크스가 사유재산 비판, 과학적 사회주의, 잉여가치 등의 개념을 프루동에게서 가져왔다고 주장한다.[98]

프루동은 유창한 사회 비판과 간결한 문체로 유명한 저널리스트이자 팜플렛 작가였으며, 그의 "연합주의"는 모든 중앙 집권적인 조직에 대한 경계로서 오늘날에도 주목받고 있다. 농민 출신인 프루동은 공업을 혐오하고 프롤레타리아를 경멸했지만, 1864년에 발표된 『60인의 선언서』에 관한 사회주의자들과의 논쟁에서는 노동자를 구하는 것은 노동자 자신임을 인정했다.
5. 1. 반유대주의 논란
프루동은 유대인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견해를 가졌던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그의 일기에는 유대인을 혐오하는 내용이 담겨 있으며, 1847년에는 유대인 추방을 요구하는 기사를 출판하려 했다는 기록도 있다.[109] 그는 유대인을 "인류의 적"이라고 칭하며, 아시아로 돌려보내거나 멸절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109] 또한 하인리히 하이네, 로스차일드 가문, 크레미외, 마르크스 등을 언급하며 유대인을 비난했다.[109]프루동은 중세 시대의 반유대주의와 자신의 반유대주의를 구별하며, 자신의 견해가 "숙고" 끝에 나온 것이라고 주장했다.[109] 이러한 그의 반유대주의적 발언은 일부 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으며, J. 샐윈 샤피로는 프루동을 인종차별주의자라고 비판하며 파시즘의 선구자로 간주하기도 했다.[109]
그러나 프루동의 반유대주의가 그의 사상 전체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라는 반론도 있다. 로버트 그레이엄은 프루동이 개인적으로 인종차별주의자였을지라도, 그의 반유대주의가 그의 혁명 프로그램의 일부는 아니었다고 주장한다.[110] 이언 맥케이 역시 프루동의 개인적인 편견이 그의 공개적인 저작에 드물게 나타나는 덧붙이는 말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며, 프루동이 "더 이상 국적도, 조국도 없을 것이다. [...] 어떤 인종이나 피부색을 가진 사람이든지, 인간은 우주의 거주자이다."라고 말한 것을 인용하며 그의 반유대주의가 그의 정치 사상의 기반은 아니었다고 강조한다.[113]
5. 2. 여성 차별 논란
프루동은 여성의 본성과 가정 및 사회 전반에서 적절한 역할에 대해 강력한 가부장적 견해를 표명했다. 1960년대까지 출판되지 않은 그의 ''카르네''(''수첩'')에서 프루동은 여성의 선택은 "매춘부이거나 가정주부"라고 주장했다.[116] 그는 여성에게 남성은 "아버지, 우두머리, 주인: 무엇보다도 주인"이라고 하였다. 그가 가부장제를 정당화한 근거는 남성의 추정되는 더 큰 신체적 힘이었으며, 그는 남성이 이 힘을 사용하여 여성을 종속시킬 것을 권고하며 "[여성은 결코 폭력적으로, 심지어 강간당하는 것을 싫어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116]귀스타브 쿠르베가 그린 ''프루동과 그의 아이들''(1865) 초상화에 대한 연구에서, 미술사학자 린다 노클린은 프루동이 초기 무정부주의 진술과 함께 "그 시대, 또는 아마도 그 어떤 시대의 가장 일관된 반여성주의 논문"으로 묘사되고 "사회에서 여성의 위치와 성에 관한 모든 주요 문제를 다른 어떤 텍스트에서도 볼 수 없는 편집증적인 강도로 제기하는" ''라 포르노크라시 우 레 팜므 단 레 탕 모던''을 저술했다고 지적한다.[116]
프루동의 가부장제 옹호는 그의 생전에 도전받지 않았던 것은 아니었다. 자유주의 공산주의자 조제프 데자크는 프루동의 반여성주의를 무정부주의 원칙에 대한 모순으로 공격했다. 데자크는 프루동에게 "'여성에 대한 남성의 착취에 반대하거나' '자신을 무정부주의자라고 묘사하지 말라"고 지시했다.[117]
프루동의 사상은 여러 방면에서 비판받았는데, 그 중 하나는 가정 생활과 여성의 의미에 대해 반동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여성은 가사에 전념해야 하며 여성 참정권을 부정했다.[118]
5. 3. 마르크스와의 갈등
1843년 프루동은 자신의 인쇄소를 팔고 수상 운수회사에서 승무원으로 일하면서 카를 마르크스와 미하일 바쿠닌을 알게 되었다.[17] 프루동이 1842년 쓴 《경제적 모순의 체계, 혹은 빈곤의 철학》에 대해, 카를 마르크스가 《철학의 빈곤》으로 비판하면서 두 사람의 사이는 매우 나빠졌다.[17] 마르크스는 프루동을 사회주의자로서 매우 존중했지만, 그가 생각하기에 프루동의 이론은 논리적 근거가 빈약했다.마르크스는 프루동의 무정부주의보다도, 노동, 가치, 가격의 관계에 대한 프루동의 오해와, 프루동이 부르주아 재산에 대한 공격을 부르주아 윤리의 틀 안에서 했을 뿐, 그 윤리를 초월하지 못했다고 생각한 것에 문제를 제기했다.[13] 이언 맥케이를 포함한 많은 무정부주의자들은 그 이후로 맑스와 마르크스주의자들이 프루동의 견해를 왜곡했다고 비판했다. 이언 맥케이는 맑스가 사유재산 비판, 과학적 사회주의, 잉여가치와 같은 많은 개념을 프루동으로부터 가져왔다고 주장한다.[98] 마찬가지로 루돌프 로커는 "우리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이 매우 자랑스러워하는 그 위대한 '과학적 발견'인 '잉여가치 이론'을 프루동의 저술에서 발견한다"고 주장했다.[98]
Edward Hyams영어는 "『철학의 빈곤』 이후로 좋은 마르크스주의자는 프루동에 대해 생각할 필요가 없었다. 그들은 그들에게 어머니의 젖과 같은, 절대적인 판결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요약했다.[13] 그들의 개인적인 비난에도 불구하고, 맑스는 항상 프루동에 대해 어느 정도의 존중을 유지했다.[10][11][12][13] 하지만 이것이 맑스가 (프루동을 비판했음에도 불구하고) 프루동의 추종자인 미하일 바쿠닌과 그의 지지자들을 제1인터내셔널에서 추방하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12] 1865년 1월 24일에 작성된 프루동의 사망 기사에서, 『철학의 빈곤』이 나온 지 거의 20년이 지난 후, 맑스는 『소유란 무엇인가?』를 "획기적인" 저서라고 불렀다.[99][100]
6. 결론
프루동은 19세기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마르크스도 그를 높이 평가했다.[101] 오랫동안 아나키즘의 창시자이자 프랑스 좌파의 일원으로 여겨졌지만, 일각에서는 그를 극우와 연결하려는 시도도 있었다.[101] 특히 프랑스 파시스트 역사가인 제브 스턴헬은 극우파가 프루동을 활용했다고 언급했다.[101]
액시옹 프랑세즈는 프루동을 그들의 스승 중 한 명으로 여겼는데, 이는 프루동의 반공화주의, 반유대주의, 루소에 대한 증오, 프랑스 혁명, 민주주의, 의회주의에 대한 경멸, 그리고 국가, 가족, 전통, 군주제에 대한 옹호 때문이었다.[101]
그러나 K. 스티븐 빈센트는 "프루동이 원시 파시스트였다고 주장하는 것은 프루동의 저술을 진지하게 살펴본 적이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반박했다.[102] 프루동은 아나키스트와 비아나키스트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에서는 조셉 라바디, 다이어 럼, 벤자민 터커와 같은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들에게, 프랑스에서는 파리 코뮌을 포함한 프랑스 사회주의에 영향을 미쳤다.[102]
아나키스트 앨버트 멜처는 프루동이 '아나키스트'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아나키스트가 아니었고 "아나키스트 활동이나 투쟁"이 아닌 "의회 활동"에 참여했다고 주장했다.[103]
1945년 J. 샐윈 샤피로는 프루동이 "파시스트 사상의 선구자였다"고 주장했지만,[104] 2021년 아나키스트이자 프루동 학자인 이언 맥케이는 샤피로의 주장에 대해 자세히 비판했다.[105] 프루동의 사상과 제3제국의 이데올로기 관계 연구에서 역사가 프레드릭 크리어는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연방주의 옹호, 민족주의와 카이사르주의 비판은 그와 상반된다고 결론지었다.[106] 다수의 다른 프루동 학자들도 프루동을 파시스트로 간주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거부했다.[107][108]
7. 참고 문헌
- Qu'est ce que la propriété?프랑스어'' (''What Is Property?'', 1840)
- ''http://gallica.bnf.fr/ark:/12148/bpt6k64799230/f7.image 소유자를 위한 경고'' (''Warning to Proprietors'', 1842)
- ''Of the creation of order in humanity or principles of political organization'' (1843)
- ''The System of Economic Contradictions, or The Philosophy of Poverty'' (1846)
- ''Solution of the Social Problem'' (1849)
- ''General Idea of the Revolu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1851)
- ''증권 투기자를 위한 안내서'' (''The Manual of the Stock Exchange Speculator'', 1853)
- ''Philosophy of Progress'' (1853)
- ''Of Justice in the Revolution and the Church'' (1858)
- ''전쟁과 평화'' (''War and Peace'', 1861)
- ''Principle of Federation'' (1863)
- ''Of the Political Capacity of the Working Class'' (1865)
- ''소유의 이론'' (''Theory of Property'', 1866)
- ''헌법주의 운동의 이론'' (''Theory of the Constitutionalist Movement'', 1870)
- ''예술의 원리'' (''The Principle of Art'', 1875)
- ''서신'' (''Correspondences'', 1875)
- ''포르노크라시 또는 근대의 여성'' (''The Pornocracy or the women in modern times'', 1875, 사후 출판)
참조
[1]
간행물
cite EPD
[2]
서적
Anarchism: From Theory to Practice
Monthly Review Press
[3]
서적
How a Bombing in Fin-de-Siècle Paris Ignited the Age of Modern Terror
Yale University Press
[4]
서적
Bakunin: The Creative Passion
Seven Stories Press
[5]
서적
Realism and Nationalism 1852–1871
Read Books
[6]
서적
Politicians & Moralists of the Nineteenth Century
Books for Libraries Press
[7]
서적
Émile Durkheim
Routledge
[8]
간행물
Political Economy from Below: Communitarian Anarchism as a Neglected Discourse in Histories of Economic Thought
[9]
서적
Changing Anarchism: Anarchist Theory and Practice in a Global Ag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0]
서적
An Anarchist Faq
AK Press
[11]
간행물
Marx and Proudhon: A Reappraisal of Their Relationship
[12]
뉴스
Books of the Tim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9-09-27
[13]
웹사이트
Property is Theft! A Pierre-Joseph Proudhon Anthology
https://anarchism.pa[...]
AK Press
2020-09-27
[14]
서적
A Popular History of France from the First Revolution to the Present Time
D. Estes and C. E. Lauria
[15]
서적
What Is Property?
https://books.google[...]
2023-02-06
[16]
서적
Christendom and European Identity: The Legacy of a Grand Narrative since 1789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23-02-06
[17]
웹사이트
Pierre-Joseph Proudhon
https://www.britanni[...]
[18]
서적
The Un-Marxian Socialist: A Study of Proudhon
Sheed and Ward
[19]
웹사이트
Bastiat-Proudhon Debate on Interest
http://praxeology.ne[...]
Praxeology.net
2008-12-02
[20]
서적
Political Economy and Liberalism: The Economic Contribution of Frédéric Bastiat
Routledge
[21]
서적
Frederic Bastiat: A Man Alone
Arlington House
[22]
웹사이트
anarchism | Definition & History
https://www.britanni[...]
2023-08-25
[23]
서적
Anarchism: A History of Libertarian Ideas and Movements
[24]
서적
Anarchism: A History of Libertarian Ideas and Movements
[25]
서적
Property is Theft!: A Pierre-Joseph Proudhon Anthology
https://books.google[...]
AK Press
[26]
서적
The End of White World Supremacy: Black Internationalism and the Problem of the Color Line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27]
서적
Contemporary Political Ideologies: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8]
웹사이트
Pierre Joseph Proudhon's basic ideas
http://www.anarchy.n[...]
International Institute for Organization Research
2020-09-27
[29]
서적
Demanding the Impossible: A History of Anarchism
PM Press
[30]
서적
The New Larned History for Ready Reference, Reading and Research
https://books.google[...]
C.A. Nichols Publishing Company
[31]
서적
The Socialist Tradition: Moses to Lenin
https://books.google[...]
Mises Institute
[32]
서적
General Idea of Revolu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Cosimo Classics
[33]
서적
What Is Government?
Freedom Press
[34]
서적
Social Philosophy in France
Image/Doubleday
[35]
서적
Anarchism: From Theory to Practice
New York University Press
[36]
서적
Property is Theft!: A Pierre-Joseph Proudhon Anthology?
AK Press
2011
[37]
서적
System of Economic Contradictions
[38]
서적
A Short History of Socialism
1975
[39]
서적
Demanding the Impossible: A History of Anarchism
https://books.google[...]
PM Press
2009
[40]
서적
Fire in the Minds of Men: Origins of the Revolutionary Faith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011
[41]
서적
The Quest of the Absolute: Birth and Decline of European Romanticism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2013
[42]
서적
Mutualism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
[43]
서적
The General Idea of the Revolution
Pluto Press
1989
[44]
서적
The General Idea of the Revolution
Pluto Press
1989
[45]
서적
Du principe Fédératif (Principle of Federation)
1863
[46]
서적
Regulatory Worlds: Cultural and Social Perspectives when North Meets South
Edward Elgar Publishing
2014
[47]
서적
An Anarchist FAQ
AK Press
2012
[48]
서적
Selected Writings of Pierre-Joseph Proudhon
[49]
서적
Selected Writings of P.J. Proudhon
[50]
서적
No Gods, No Masters
AK Press
2006
[51]
서적
An Anarchist FAQ
AK Press
2012
[52]
서적
Proudhon's Solution of the Social Problem
Vanguard Press
1927
[53]
서적
Pierre-Joseph Proudhon
[54]
서적
Selected Writings of Pierre-Joseph Proudhon
[55]
서적
General Idea of the Revolu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56]
서적
Selected Writings of Pierre-Joseph Proudhon
[57]
서적
Pierre-Joseph Proudhon: A Biography
Black Rose Books
1987
[58]
서적
Mélanges. Tome I
Lacroix
1868
[59]
서적
Proudhon's Sociology
https://books.google[...]
AK Press
2024-10-01
[60]
서적
The Abolition of the State: Anarchist and Marxist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24-10-01
[61]
서적
General Idea of the Revolu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Freedom Press
2024-10-01
[62]
서적
Property is Theft!: A Pierre-Joseph Proudhon Anthology?
AK Press
2011
[63]
서적
Property is Theft!: A Pierre-Joseph Proudhon Anthology?
AK Press
2011
[64]
서적
An Anarchist Faq
AK Press
2008/2012
[65]
웹사이트
General Idea of the Revolu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fair-use.org/[...]
2020-09-29
[66]
서적
Property is Theft!: A Pierre-Joseph Proudhon Anthology?
AK Press
2011
[67]
서적
The Gift of Property: Having the Good/Betraying Genitivity, Economy and Ecology, An Ethic of the Earth
SUNY Press
2001
[68]
서적
Property is Theft!: A Pierre-Joseph Proudhon Anthology?
AK Press
2011
[69]
서적
Les confessions d'un révolutionnaire
Garnier
181
[70]
서적
A Short History of Anarchism
[71]
서적
Oeuvres Complètes
Lacroix
[72]
서적
America America or Is It?
AuthorHouse
2010
[73]
서적
Property is Theft!: A Pierre-Joseph Proudhon Anthology?
AK Press
2011
[74]
간행물
Why are anarchists against private property?
AK Press
2008/2012
[75]
서적
Property is Theft!: A Pierre-Joseph Proudhon Anthology?
AK Press
2011
[76]
서적
Classical Anarchism: The Political Thought of Godwin, Proudhon, Bakunin, and Kropotkin
Clarendon Press
1991
[77]
서적
Beyond Schooling: An Anarchist Challenge
Routledge
2019
[78]
서적
The Ethical Socialism of Saint-Simon, Fourier, and Proudhon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79]
웹사이트
Proudhon, the First Liberal Socialist
https://stacks.stanf[...]
Stanford University
2020-09-03
[80]
서적
Karl Polanyi: A Life on the Lef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
[81]
서적
What Is Socialism?
The Shakespeare Press
1912
[82]
서적
Idées révolutionnaires
Garnier
1849
[83]
서적
Résumé de la question sociale: banque d'échange
Rignoux
1849
[84]
서적
Les confessions d'un révolutionnaire
Garnier frères
1852
[85]
서적
Mélanges: articles de journaux 1848–1852
Librairie internationale
1869
[86]
서적
Oeuvres complétes
1872
[87]
서적
The Third Revolution: Popular Movements in the Revolutionary Era
A&C Black
1996
[88]
서적
European Socialism: A History of Ideas and Movements from the Industrial Revolution to Hitler's Seizure of Powe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9
[89]
서적
Contemporary Political Ideologies
Continuum
1999
[90]
서적
Social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9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ocialism
The Scarecrow Press
2006
[92]
서적
What Is Property?
Dover
1970
[93]
서적
What Is Property?
Dover
1970
[94]
서적
What Is Property?
Dover
1970
[95]
서적
Selected Writings
[96]
학술지
The Evolution of the Socialist Vocabulary
1948-06
[97]
서적
The Individualist Anarchists: An Anthology of Liberty (1881–1908)
Transaction Publishers
1994
[98]
웹사이트
Proudhon to Karl Marx
https://www.marxists[...]
Marxists Internet Archive
1846-05-17
[99]
웹사이트
On Proudhon
https://www.marxists[...]
Marxists Internet Archive
2020-09-28
[100]
서적
Marx Engels Selected Works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962
[101]
서적
The Birth of Fascist Ideology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05
[102]
서적
Anarchism: A History of Libertarian Ideas and Movements
Broadview Press
2004
[103]
서적
Anarchism: Arguments for and Against
AK Press
2000
[104]
학술지
P. J. Proudhon an Uncomfortable Thinker
1946-01
[105]
학술지
Pierre-Joseph Proudhon, Harbinger of Anarchism
2021
[106]
서적
Sozialismus für Kleinbürger: Pierre Joseph Proudhon - Wegbereiter des Dritten Reiches
Böhlau
2009
[107]
서적
Political Thought of Pierre-Joseph Proudh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108]
논문
Pierre-Joseph Proudhon’s Mutualist Social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109]
웹사이트
On the Jews
http://www.marxists.[...]
Marxists Internet Archive
2020-09-28
[110]
서적
Introduction
(in General Idea of the Revolu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111]
서적
An Anarchist FAQ, Volume 1
http://www.akpress.o[...]
AK Press
2020-09-28
[112]
서적
An Anarchist Faq
http://anarchism.pag[...]
AK Press
2020-09-28
[113]
서적
Property Is Theft! A Pierre-Joseph Proudhon Anthology
AK Press UK
2011
[114]
서적
Sozialismus für Kleinbürger: Pierre-Joseph Proudhon – Wegbereiter des Dritten Reiches
Böhlau
[115]
학술지
Antisemitism in the anarchist tradition
https://journals.lwb[...]
2018
[116]
서적
Courbet
Thames & Hudson
2007
[117]
백과사전
Anarchism and gender
http://www.blackwell[...]
2009
[118]
서적
プルードン、性的抑圧 (Proudhon, le refoulé sexuel)
[119]
서적
철학의 빈곤
[120]
서적
Qu'est-ce-que la propriêtê? ou, Recherches sur la principe du droit et du gouvernement
[121]
서적
De la capacité politique des classes ouvrières
[122]
웹사이트
勞働權と財産權・聯合主義論
https://dl.ndl.go.jp[...]
2018-08-24
[123]
서적
Les confessions d'un révolutionnaire pour servir à l'histoire de la révolution de février
[124]
서적
Qu'est-ce que le gouvernement ? qu'est-ce que Dieu ? (이전에 출판됨)
[125]
서적
Qu'est-ce que le gouvernement ? qu'est-ce que Dieu ? (루이 블랑과 피에르 르루의 저술 이전에 발표됨)
[126]
비디오
ROUDHON, Pierre-Joseph – Les Malthusiens
http://www.litteratu[...]
2010-09-02
[127]
서적
1848년–1852년의 신문 기사집
Librairie internationale
[128]
서적
P.J. Provdhon, sa vie et sa correspondance (원제)
[129]
서적
Proudhon, pluralisme et autogestion (원제)
[130]
서적
인물로 보는 유럽통합사
책과함께
[131]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